구병원 GOO HOSPITAL

전체메뉴 ENG CHI
X

01. 진료과선택

02. 의료진 선택

03. 예약가능시간 선택

취소하기

대장항문센터 상단 이미지

“구병원 대장항문센터는 치료에서 관리까지 책임집니다.”

치핵, 치루,치열, 항문직장농양, 항문직장통, 항문소양증, 항문성병 등을 다루고 있으며, 동반되어 있는 변비, 변실금, 배변장애, 탈직장, 염증성장질환, 과민성 대장증후군, 대장 직장암등을 감별하고 수술 시 통증이 적고, 합병증이 없으며, 재발하지 않고 배변이 용이하기 위해 치료에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치질

치핵이미지

치핵

배변시 대변이 부드럽게 나오게 충격을 흡수해주는 조직으로 항문 쿠션조직이 정상적으로 있는데, 이것이 치핵 조직입니다. 이쿠션조직이 여러원인으로 비정상적으로 커지면 병적인 상태가 되어 항문 밖으로 탈출되거나, 출혈, 통증 등의 증상이 있을때 치료를 요합니다.

치루이미지

치루

항문 안쪽 구멍을 통해 바깥쪽의 누관(터널)이 생겨 뚫린 상태를 말합니다. 항문샘이 감염되어 항문 주위 농양이 되고 농양이 터진 후 치루가 생깁니다.

치열

항문관이 찢어져서 궤양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딱딱한 변으로 찍어진 상피가 자극을 받으면 항문의 내괄약근이 경련을 일으켜 심한 통증과 출혈이 동반됩니다.

기타항문질환

· 항문소양증
항문소양증 이미지
· 항문콘딜로마
항문콘딜로마 이미지
· 항문주위농양
항문주위농양 이미지
· 직장탈출증
직장탈출증 이미지
· 모소동
모소동 이미지

수술 후 관리

치질수술 후 관리표
시기 경과
수술당일 침대에서 안정
1일째 보행, 첫배변
2일째 좌욕, 퇴원
5일째 외래방문치료
1개월 1 ~ 2주 5일마다 외래방문
3주 이후 일주일 1회 외래방문

· 치루수술 환자 분은 외래 치료기간이 조금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여성전문의

여성전문의 상단사진

“ 구병원은 여성전문의가 진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부끄러움 때문에 병원을 찾는 것이 쉽지 않은 여성분들을 위해 구병원에서는 여성전문의가 진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성 대장항문 전문의가 진료부터 수술, 내시경 검사까지 같은 여성의 마음으로 따뜻하고 편안하게 진료합니다. 여성에게는 남성에 비해 치열의 발생율이 두 배 정도 높습니다. 그 이유는 여성에게서 상대적으로 치열의 원인이 되는 변비의 발생빈도가 높고, 여성의 항문 피부가 남성보다 약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임신을 하게 되면 호르몬 작용이나 아기 때문에 커진 자궁이 항문을 압박하기 때문에 대장항문 병이 잘 생길 수 있으므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변비·변실금

변비·변실금 상단사진

“ 구병원만의 원스탑 시스템으로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질병의 조기발견과 재발 없는 치료에 최선을 다합니다.”

만성변비와 변실금 질환은 많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증세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전문화된 의료진의 진찰과 검사를 통하여 정확한 원인을 찾은 후 집중적으로 치료를 해야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구병원만의 원스탑 시스템으로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질병의 조기발견과 재발 없는 치료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변비, 변실금 센터에서는 고령화 사회에서 골반저 근육의 약화로 만성변비, 출구폐쇄형 배변장애, 직장탈, 항문통증, 직장류 등을 집중적으로 치료를 합니다. 폐쇄형 변비일 경우 직장류, 직장탈, 직장중첩증, 치골직장이완부전증 등은 단순한 약물 치료만으로는 힘들고 바이오피드백 치료나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변실금의 경우에는 고식이섬유, 바이오피드백 치료 등의 보존적인 치료가 안되는 경우에는 괄약근 성형술이나 천수신경자극술 등의 치료법이 있습니다.

만성변비의 증상을 나타내는 표
1주에 2회 이하의 배변 하루 대변양 35mg 이하 배변시 힘을 많이 줘야함 대변이 딱딱한 경우 배변 후 잔변감이 있는 경우

항문내압 검사

항문 괄약근의 긴장도, 직장의 용적과 감각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항문을 통해 직장까지 가는 관을 삽입한 후 이 관을 통하여 물을 흘려 넣거나 공기를 넣어서 직장이나 항문 내강의 압력과 용적을 측정하게 되며 측정된 결과는 장치를 통하여 모니터에 신호로 전달되게 됩니다.

배변 조영술

주로 직장형의 변비에 대해 정확한 원인을 찾기 위하여 배변과정을 직접 분석하고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피검자는 실제 대변과 비슷하게 만들어진 조영제를 항문을 통하여 직장에 주입한 후 검사용 변기에 앉아 실제 배변과 마찬가지로 배변을 하게 되며 투시 하에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배변과정에서의 직장과 항문관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평가합니다.

항문 근전도 검사

항문 괄약근의 운동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항문 안으로 스폰지 형태의 전극을 넣고 피검자에게 항문 근육을 조이거나 배변할 때처럼 힘을 주게 하고 이때에 나타나는 근육의 움직임 양상을 전기적 신호로 잡아내어 평가하게 됩니다.배변과정에서의 직장과 항문관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평가합니다.

결장 통과시간 검사

대변이 결장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제공하는 캡슐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고 지정된 날짜에 복부 방사선 촬영을 하게 됩니다. 캡슐의 경우에 대개 3일간 연속해서 복용하며 방사선 촬영은 고리가 모두 빠져 나갈 때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계속 찍게 됩니다. 변비가 심한 환자의 경우에는 결장 기능에 영향을 주는 변비약, 관장제 등을 사용하시면 정확한 결과를 기대할 수가 없게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MR 배변 조영술

만성기능성 변비환자에게서 많이 시행 하던 기존의 배변 조영술에 비해 MR 배변조영술은 방사선노출이 없고 골반저 및 주변구조를 상세히 볼 수 있어서 실제적인 골반의 움직임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