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병원 대장암센터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선정한 대장암 1등급 병원입니다”
구병원은 대장암 진단에서 수술, 항암치료까지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하여 불필요한 검사를 최소화하며, 수술 후 당일 판독 및 설명이 가능하므로 최대한 빠른 시간에 결과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전담 주치의의 빠르고 확실한 진료 시스템으로 외래에서부터 검사, 수술, 입. 퇴원, 치료 및 수술 후 관리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언제 어디서라도 주치의와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구병원 대장암 센터는 대장암 수술 1800례를 시행하였고, 복강경 수술 1000례를 달성하였습니다. 2007년도부터 대장암, 직장암 수술의 95%를 복강경 수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치료방법
0/1기 |
|
---|---|
2기 |
|
3기 |
|
4기 |
|
복강경수술
결장암 – 우측결장 절제술
(암 위치 :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소장의 일부와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의 일부를 포함하여 절제를 합니다. 절제 후에는 남은 소장과 횡행결장의 양쪽 끝을 연결 합니다.
직장암 - 전위전방 절제술
(암 위치 : S결장과 직장의 연결부, 직장상부 또는 중간부)
S결장과 직장의 일부를 절제하고 남은 S결장과 직장을 연결합니다. 직장의 중간부에 암이 있는 경우는 가급적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항문을 보존하는 괄약근 보존 술식을 시행합니다.
직장암 - 복 회 절제술
(암 위치 : 직장 중간부 또는 하부)
직장 중간부 또는 하부, 항문을 포함하여 전체를 절제한 후 항문 보위를 막고 인공항문(장루)를 만듭니다
항암화학 요법
항암화학요법
주사제 : 5-에프유(5-FU), 유에프티(UFT), 플루오로피리미딘계 약물, 이리노테칸(캠푸토), 옥살리플라틴
복용약 : 독시풀루이딘, 캡사이타민 (젤로다)
항암제 치료 부작용
메스꺼움(오심), 구토, 구내염, 식욕부진, 설사/변비, 피로감, 탈모, 발진, 피부염 및 피부색소침착, 손 및 발끝이 저림, 발열, 감염, 출혈, 빈혈, 월경불순, 불임 등
방사선 요법
방사선 요법은 방사선을 이용한 국소적 치료법입니다. 방사선 치료가 단독으로 시행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 항암제 치료와 병용합니다. 매일 10-20분 정도, 주 5회 외래 통원 치료로 시행됩니다. 수술 전, 후 보전적 치료로 할 경우는 대개 6주 전후의 치료 기간이 소요되고 수술 불가능 환자 및 시행이 어려운 환자의 경우는 7-8주의 기간이 필요합니다.
표적치료제
표적치료제란 암세포에 특히 많이 나타나는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암세포가 생존, 성장 또는 증식하거나 다른 기관으로 전이 되는 것을 막아 암세포를 죽이는 항암제를 말합니다.
얼비툭스(세툭시맙) : 암세포의 생존, 성장, 증식 및 전이를 억제하는 역할
아바스틴(베바시주맙) : 혈관의 생성을 촉진하는 단백질을 차단함으로써 암세포의 영양분 공급을 억제
수술 후 관리
수술 후 재발 방지를 위해 항암치료를 하고 있으며, 암 재발 조기 발견을 위해 첫 2년 동안은 3개월마다 혈액검사, 6개월마다 컴퓨터 단층촬영(CT), 1년마다 대장내시경을 시행하고 이후 3년 동안에는 6개월마다 혈액검사와 컴퓨터 촬영 그리고 1년마다 대장내시경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대장암에 좋은 5색 채소/과일
- 사과, 체리, 딸기, 토마토, 수박, 고추, 적채,래디쉬
- 청포도, 키위, 메론, 브로콜리, 양배추, 시금치, 상추, 애호박, 풋고추
- 귤, 파인애플, 레몬, 오렌지, 당근, 파프리카, 호박, 호두, 옥수수, 고구마
- 포도, 자두, 건포도, 블루베리, 무화과, 적채, 가지, 아스파라거스
- 바나나, 배, 복숭아, 마늘, 버섯, 생강, 양파, 감자
대장암을 이기는 생활 속 3대 골든타임
- 1.5초 점검하나, 배변 후 1.5초 점검
- 식이섬유 섭취둘, 6세부터 식이섬유 매일 18~30g
- 정기적 대장내시경셋, 50세부터 5년에 한번, 위험군은 40세부터 대장내시경 검사